분재관련

분재의 월별 관리

큰별&장풍이 2011. 2. 9. 20:42

1월

구   분

송 백 류

잡 목 류

일반관리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한다.
.낮과 밤의 온도차를 줄인다.
.낮온도를 8℃ 이상 오르지 않게 낮에 환기시킨다.
.야간 온도가 영하3℃이하로 내려 가지 않게 한다.

.추위에 잔가지가 동해를 안 입도록 바람이 적고 따뜻하게 보호한다
.분의 방향을 보름에 한 번씩은 돌려 주도록 한다. 야간에 낮은 온도는 분을 동파시킨다.

물 주 기

.분토가 완전히 마른 후 2~3일 지나서 관수한다.
.관수보다는 엽수를 중요하게 해 준다.

.관수는 오전 10시경 하되 용토가 마르기 전에는 항상 삼가한다.
.하루쯤 받아놓아 기온과 비슷해진 물을 사용한다.

비료주기

.정오 경 요소비료를 0.02% 희석하여 엽면시비를 한 달에 2회 정도 한다.

.한겨울에 꽃을 피운 화목류에게는 엷은 액비로 관수를 대신하고 추운 곳에 놓는다.

병충해관리

.하순에 석회유황합제 살포 .개각충은 교정작업시 구제

.하순에 석회유황합제 살포
.개각충은 교정작업시 구제

번     식

.송백류 종자는 층적시킨다.

.잡목류 종자는 충적시킨다.
.접목을 할 접수를 채취하여 가식한다.

수형교정

.중순부터 철사걸이가 적기 .철사걸이시에 가지치기도 한다.
.철사걸이 후에 추위를 겪지 않게 한다.

.모과,매화,벚나무는 가지치기를 하되 꽃눈을 조심한다.

기     타

.건조에 유의하여 습도 유지에 힘쓰도록 한다.
.서리와 이슬이 없는 곳에서 보호되고 있으므로 야간에 공기 중의 습도를 높여 준다.

.매화,수사해당,장수매는 중순 이후 분갈이한다.
.겨울엔 분토가 어는 경우가 있는데 얼음이 얼면 수분 흡수를 못해서 수목이 말라 죽는다

2월

구   분

송 백 류

잡 목 류

일반관리

.잎 색깔이 회복되지 않은채 깊은 잠을 자고 있다.
비닐하우스 안에 있는 분재는 한낮에 찬바람을 불어 넣어 온도를 낮추어 준다.

.난대성 잡목류는 가지치기가 조금 이르다.
.한대성 잡목류는 가지를 정리하는데 자른 자리에 카루스메이트를 발라주어 동해를 방지토록 한다.

물 주 기

.1월달에 준하여 관수한다.
.뿌리 활동이 덜되고 있으므로 수분은 잎으로 공급토록 하되 야간 습도를 높인다.

.하순 경 뿌리가 활동을 시작하므로 충분한 관수를 한다.
.줄기와 가지를 적시어 주어 눈트기 좋게 해준다.

비료주기

.엽면 시비로 대신 한다.

.눈이 틔기 전 비료를 시비한다.
.하순 경 깻묵액비로 관수를 대신토록 한다.

병충해관리

.20배액의 석회유황합제를 일 주일 간격으로 3 ~4회 살포

.20배액의 석회유황합제를 일 주일 간격으로 3 ~ 4회 살포

번     식

.해송,섬잣나무 접목을 한다.

.순치기 한 매화,모과는 삽목을 하는데 온도를 높이어 준다.

수형교정

.송백류의 굵은 줄기도 철사 걸이가 가능한 시기다.
.묵은 철사를 풀어 보고 필요한 것만 다시 감는다.


.잡목류 가지치기를 한다.
.무리한 교정은 피하도록 한다.
.수액 이동이 정지된다.
.명자,매화 등은 철사걸이를 한다.

기     타

.분갈이를 하되 난대성 송백류는 하순 경에 한다.
.동해보다는 건조에 주의하도록 한다.

.소사,모과,매화 벚나무는 분갈이를 한다.
.비료 만들기를 하도록 한다.

 ※ 배양 관리하는 지역과 장소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분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별 관리  (0) 2011.02.09
장소별 관리  (0) 2011.02.09
수종별 관리  (0) 2011.02.09
분재란  (0) 2011.02.09
분재의 수형   (0) 2011.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