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고자료>
□ 국내동향 ○ 지구온난화로 아열대기후대 확대로 전망(2007, 기상청)으로 주요 원예작물 주산지의 재배환경 변화와 재배적지의 변동이 예상됨 - 온난화로 아열대기후구 내륙 확대 : 제주, 남해일부(현재) → 중부내륙(2070) - 아열대기후대 증가 예측 : 현재 경지면적의 2% → 2020년 17% ※ 아열대 기후대의 정의(Trewartha) : 연중 가장 추운달의 평균기온이 -3℃~18℃, 월평균 기온이 10℃가 넘는 달이 8개월 이상인 지역 ○ 아열대기후대의 확대로 제주지역에서 재배되는 원예작물의 재배지가 북상하고 면적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연평균기온 2℃ 상승 시 감귤 재배 가능지가 약 36배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난지형(월동 배추, 난지형 마늘 등) 원예작물의 북상 예상됨 - 제주지역 아열대화로 열대과수 재배면적 증가 추세임 : 망고 등 5작목 ○ 기후변화 전망에 따른 재배환경의 변화와 소비자의 기호도 변화로 열대․아열대 작물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 예상 - 웰빙에 대한 소비자들이 관심이 증가하면서 맛있고 기능성이 많은 열대과일 및 채소의 소비 증가 추세임
□ 금후계획 ○ 열대․아열대작물 도입, 적응, 선발 및 재배법 기술개발 - 과수류 : 5 (‘10) → 7 (’11) → 10종 (‘12) - 채소류 : 10 (‘10) → 16 (’11) → 20종 (‘12) ○ 국내 기후적응성 품종육성 및 기술개발 - 극조생 및 조생계통 황색계 참다래 등 ○ 국내외 공동연구 협력체계 구축 - 국제공동연구 : 열대․아열대작물 적응 및 재배법개발(일본) 등
□ 국내 열대․아열대과수 재배현황
- 국내 열대․아열대과수 재배 : 7작목 87.2ha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열대 과수는 망고임(256톤) - 국내육성 골드키위 품종 재배면적 : 70ha(2010) □ 국내 열대․아열대과수 수입 현황 ○ 수입량 (단위 : 천톤)
- 국내 열대과수 수입량은 바나나가 257천톤으로 가장 많음 - 파인애플은 고당도, 산미가 낮은 골드계통이 수입 유통됨 - 수입 망고는 미숙과 수확하여 유통됨(국내산 망고가 당도, 경도 등 품질 우수) - 아보카도는 기능성 과실로 알려져 최근 수입 증가 추세임 - 기타: 망고스틴, 두리안, 파파야, 코코넛
○ 수입액 (단위 : 천$)
- ‘07년부터 수입액 급증
□ 국내 참다래 생산 및 소비동향
※ 자료: 재배면적 및 생산량(농식품부), 농림업생산액, 수입량(농수산물 유통공사)
○ 수급량(자급률) : ('02) 21.2 → ('04) 35.9 → ('09) 47.45천톤(42.2%) ○ 1인당 소비량 : ('02) 0.4 → ('04) 0.7 → ('09) 1.0kg(141% 증) ○ 수입국(’08) : 뉴질랜드 26,396(90%), 칠레 2,540(9%), 미국 149톤(1%) * '09년 (9월 현재) : 뉴질랜드 17,132(80.6%), 칠레 4,130(19.4%), 미국 0 톤(1%) ⇒ ’08~’09년 수입량 감소요인 : 원화대비 달러화 강세로 수입물량 감소
□ 참다래 전망 ○ 수입국변화:3개국(뉴질랜드,칠레,미국)→4개국(뉴질랜드,칠레,미국,이탈리아) ○ 생산량 변화 - 골드키위 생산량:(’07)1,500→(’12)5,500톤 - 제주재배 ‘제스프리골드’:생산량 4,300톤 중 3,000톤은 동남아 수출 예상 ○ 재배면적 변화 - 참다래 재배면적:(’06)998→(’09)1,088→(’12)1,100ha - ‘제스프리골드’재배면적및생산량:(’08)102ha,2,800톤→('12)102ha,4,300톤 - 국내육성품종재배면적및생산량:(’08)30ha,20톤→('12)200ha,1,200톤 □ ‘제스프리골드’키위의 생산비 대비 로열티 비율 ○ 골드키위는 2006년 이후 뉴질랜드의 제스프리사에 로열티를 지출하고 있으며 2007년 이후 총 생산액의 15%를 로열티로 부담하고 있음 ○ 로열티 지급 추정액
* 기준 : 생산연도(’06생산은 ‘07년 지불) * 생산비 : 2007 농축산물소득자료(제주) 경영비 2,529 천원 + 로열티 2,280천원 * 제스프리골드 조수익대비 생산비 점유율 : 31.6% ** 근거 : 뉴질랜드의 ‘제스프리골드’ 평균생산량 4,000kg/10a, 가격 3,800원/kg 로열티 15%로 계산 → 따라서 조수입은 15,200천원/10a, 로열티는 2,280천원/10a
□ 국내육성 골드키위 재배면적 및 생산량
□ 로열티 절감 추정액 (’06~’12)
* 우리품종 생산량 : (‘08) 20 → (’09) 63 → (‘10) 120 → (’12) 1,000톤
◇ 유망 과수류 5종 선발 ◦ 망고, 골드키위, 패션프루트, 용과, 아보카도 ◇ 유망 채소류 10종 선발 ◦ 아티초크, 오크라, 쓴오이, 인디언시금치, 루버브, 차요테, 공심채, 울금, 사탕무, 얌빈
[열대 ․ 아열대 과수류] □ 관련 연구 주요 성과 ○ 열대․아열대 과수 수집 및 적응성 평가(’09~’10) - 유전자원 수집 : 왁스애플 등 9과종 41품종(미국 등) - 환경적응성 평가 : 아보카도 등 4과종(노지, 무가온, 5℃, 10℃, 15℃) ○ 망고 국내 적응 재배기술개발 - 에너지 절감형 시설재배 기술 개발(’10) ※ 열풍기+히트펌프+다겹보온커튼 : 난방비 절감(46→78.5%) - 다공질필름 토양피복으로 고품질 망고 생산기술 개발(’10) ※ 품질향상 : 당도(11.8→13.8°Bx), 착색도(9.0→6.7), 상품과율(36.1→49.0%) ○ 골드키위 품종 육성 보급으로 로열티 절감 - 골드키위 ‘한라골드’, ‘제시골드‘ 등 6품종 육성 ※ ‘제시골드’ : 국립종자원 주관 대한민국우수품종상 ‘농림수산식품장관상’ 수상(‘10) - 해외 품종보호 출원 : ‘제시골드’ 및 ‘한라골드’ 품종(중국) - 보급면적 증가 : (’08) 15→(’10) 70ha 고당도 황색계 제시골드 고당도 황색계 한라골드
○ 자색계 패션프루트 물 삽목기술 개발(’10) - 종묘비 절감 : 10a당 2,400천원 절감 ※ 수입묘 2,500천원/50주 → 100천원/50주
□ 금후계획 ○ 열대․아열대 과수 적품종 선발 및 적응 재배법 개발 - 번식(종자, 접목), 재배작형, 정지․전정 및 상자재배 기술 등 ○ 열대․아열대 과수 노지, 시설재배 적응성 및 에너지 절감 작형 개발 ○ 로열티 대응 국내육성 우수 골드키위 보급 확대 - 보급품종 : (’10) 2품종(제시골드, 한라골드) → (’12) 3품종(원교자1호) - 보급목표 : (‘10) 70 → ('12) 120ha □ 도입· 선발된 열대․아열대 과수의 주요 특징
[열대 ․ 아열대 채소류]
□ 관련 연구 주요 성과 ○ 유망자원 도입 적응시험 수행 : 인디언 시금치 등 10종 ○ 아티초크 적응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난지권 적 품종 선발 : ‘그린글로브’, ‘임페리얼스타’ - 파종적기 구명 : 당년수확 2.25파종, 이듬해 수확시 7.30~10.15 - 생산시기 확대 : 6월(노지)→ 4~5월(무가온 하우스 재배) ○ 오크라 안정생산 및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 재식밀도 구명(45X75cm) : 9,970kg/10a → 13,150kg/10a(30%증수) - 적심방법 : 무적심 (10,320kg/10a)→ 1/3적심(12,910kg/10a), 25% 증수 ○ 쓴오이 시설재배시 착과율 향상 - 꿀벌방사 효과 : 호르몬처리(380~400kg/10a) →꿀벌(1,790kg/10a) □ 금후계획 ○ 개발기술 지원 및 지역적응 시험 확대 - 남해안 등 난지권 지역적응 시험 : (’11)전남 등 2지역 - 재배농가 기술 지원 : 경남 함양 등 재배농가 기술지원 □ 도입· 선발된 열대․아열대 채소의 주요 특징
□ 자원정보 수집 방안 ○ 농진청 KOPIA센터와 연계한 도입 선발 - 미얀마, 필리핀 및 캄보디아 등 10개국 ○ 다문화가정을 활용한 작물 기능성 등 가치에 대한 자원정보 수집 - 다문화가정 활용 :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 중심 ※ 농림어업 : 남성 38.3% 외국여성과 결혼한 다문화 가정(’09)
□ 보급방안 ○ 도입된 작물 환경적응성 및 이용가치 등을 활용한 평가 및 선발 - 기후변화 적응, 기능성 및 기호성 등 분석 ○ 선발 및 개발된 작물 농촌 다문화가정에 우선 보급 추진 - 재배기술 및 교육 연계 추진 ○ 재배작물을 이용한 고국의 음식문화와 연계하여 홍보 - 다양한 계층 요구에 대응한 요리법 개발 등
|
'귀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석잠, 석잠풀, 쉽사리(택란) 비교 (0) | 2014.03.17 |
---|---|
귀농자를 위한 농지 및 주택취득 안내 (0) | 2011.02.05 |
천국의 과일 ‘게욱’을 아시나요? (0) | 2011.01.31 |
농지원부의 이해 (0) | 2011.01.31 |
부재지주와 자경의 정확한 기준은? (0) | 2011.01.30 |